산들바람을 맞으며

2024. 3. 11. 09:27

지휘를 한다는 것은
단원들을 이끌고 산에 올라가는 것과
비슷하다. 어떨 때는 히말라야 산을 올라가는
느낌으로 땀을 뻘뻘 흘리며 죽을 고비를 넘길 때도 있고,
또 어떨 때는 산들바람을 맞으며 남산을 산책하는
기분을 느끼기도 한다. 연주를 마치고 난 후
밀려드는 감정 또한 산 정상에 올랐을 때의
기분과 비슷하다.


- 김성진의 《경계에서》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 행복, 어디에서 오는가  (0) 2024.03.13
바꾸어 말하기  (0) 2024.03.12
가장 놀라운 기적  (0) 2024.03.08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  (0) 2024.03.07
임종을 앞둔 엄마의 시선  (0) 2024.03.06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가장 놀라운 기적

2024. 3. 8. 08:57

모든 것이 괜찮을 때,
자신의 육체와 접촉하도록 노력하라.
풀밭에 누워서 눈을 감고 내면의 흐름을 느껴보라.
건강이 피어오르는 것을 느껴보라. 강에 들어가
누워보라. 강물이 그대의 육체를 어루만지고
모든 세포가 시원함을 느낀다. 육체는
참으로 위대한 현상이며, 자연계에서
가장 놀라운 기적 가운데
하나이다.


-오쇼의 《바디 마인드 밸런싱》 중에서-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꾸어 말하기  (0) 2024.03.12
산들바람을 맞으며  (0) 2024.03.11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  (0) 2024.03.07
임종을 앞둔 엄마의 시선  (0) 2024.03.06
배꼽은 늘 웃고 있다  (0) 2024.03.05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

2024. 3. 7. 09:29

그러므로 일이
꼭 즐거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즐거워야 잘할 수 있게 되는 것도 아니다.
목표는 멋지지만 목표로 가는 길에는 똥 덩어리가
가득하다. 지루한 길이다.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은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가 아니라
'그 과정의 어떤 고통을 견딜 수
있는가?'다.


- 신수정의 《커넥팅》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들바람을 맞으며  (0) 2024.03.11
가장 놀라운 기적  (0) 2024.03.08
임종을 앞둔 엄마의 시선  (0) 2024.03.06
배꼽은 늘 웃고 있다  (0) 2024.03.05
밤하늘의 별  (0) 2024.03.04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임종을 앞둔 엄마의 시선

2024. 3. 6. 08:56

엄마는
여전히 인생을 사랑했지만
아무래도 예전 같을 순 없었어요.
나한테도 "의욕이 통 안 생기는구나"라고
말하곤 했지요. 하지만 엄마는 아직 죽고 싶지
않았어요. 때가 됐다고 느끼기는 했지만, 이제 곧
아흔일곱이니 살 만큼 살았다고 생각했지만요.
엄마는 이제 완전히 여기 있는 게 아니었어요.
정신은 자꾸 딴 세상에 가고, 시선은
멍하니 오로지 엄마 눈에만 보이는
어떤 지평에 가 있었어요.


- 베로니크 드 뷔르의 《다시 만난 사랑》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놀라운 기적  (0) 2024.03.08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  (0) 2024.03.07
배꼽은 늘 웃고 있다  (0) 2024.03.05
밤하늘의 별  (0) 2024.03.04
무소의 뿔처럼  (0) 2024.02.29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배꼽은 늘 웃고 있다

2024. 3. 5. 08:54

"가장 중요한 것은 비어 있다네.
생명의 중심은 비어 있지. 다른 기관들은
바쁘게 일하지만 오직 배꼽만이
태연하게 비어 있어.
비어서 웃고 있지."


-김지수의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중에서-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  (0) 2024.03.07
임종을 앞둔 엄마의 시선  (0) 2024.03.06
밤하늘의 별  (0) 2024.03.04
무소의 뿔처럼  (0) 2024.02.29
다다다다 터진 엄마 이야기  (0) 2024.02.28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밤하늘의 별

2024. 3. 4. 08:55

사람에게는 변치 않는
'하나'에 대한 본능적인 염원이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밤하늘의 별을 끊임없이
노래하여 찬탄하는 것이다. 별이 언제나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이처럼 한결같이
거기 있는 존재를 언제나 찬탄한다.


- 강기진의 《50에 읽는 주역》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종을 앞둔 엄마의 시선  (0) 2024.03.06
배꼽은 늘 웃고 있다  (0) 2024.03.05
무소의 뿔처럼  (0) 2024.02.29
다다다다 터진 엄마 이야기  (0) 2024.02.28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0) 2024.02.27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무소의 뿔처럼

2024. 2. 29. 08:53

그저 즐거움만 얻길 원한다면
그것은 취미로 간직하는 편이 낫다.
그것으로 프로나 최고가 되기 어렵다.
최고가 되는 사람은 지루함과 똥 덩어리에
굴하지 않고 때로 의무감으로, 때로 책임감으로,
때로 막연한 희망으로, 때로 작은 성장의 뿌듯함으로,
때로 동료애로, 때로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미션과 뜻으로 매일매일 의도적으로
훈련하면서 무소의 뿔처럼 조금씩
전진하는 사람이다.


- 신수정의 《커넥팅》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꼽은 늘 웃고 있다  (0) 2024.03.05
밤하늘의 별  (0) 2024.03.04
다다다다 터진 엄마 이야기  (0) 2024.02.28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0) 2024.02.27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0) 2024.02.26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다다다다 터진 엄마 이야기

2024. 2. 28. 09:23

엄마는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어요.
일단 물꼬가 터지자 다다다다 말이 쏟아졌어요.
엄마는 거의 숨도 쉬지 않고 말꼬리를 이어갔어요.
단어를 놓칠까 봐, 기억이 도망갈까 봐, 시간이 더없이
아름다운 이미지를 남겨놓고 다시 달려갈까 봐
두려운 사람처럼요. 엄마는 내 생각을 묻고,
소리 내어 웃고, "무슨 말인지 알겠니?",
"생각해 봐!", "놀라서 기절할 뻔했어!"
라는 말을 몇 번이나 했는지 몰라요.


- 베로니크 드 뷔르의 《다시 만난 사랑》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하늘의 별  (0) 2024.03.04
무소의 뿔처럼  (0) 2024.02.29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0) 2024.02.27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0) 2024.02.26
땅바닥을 기고 있는가, 창공을 날고 있는가?  (0) 2024.02.23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2024. 2. 27. 09:11

사람들은
육체와 벗이 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것은 자신의 육체와 소통하는 언어이다.
육체와 소통하고 대화하고, 그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는 것은 고대 티베트에서 알려진 단련법이다.
현대 의학은 현자들과 신비가가 알고 있었던 것을
이제야 인지하기 시작했다. 마음과 육체는
분리되어 있는 게 아니라,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오쇼의 《바디 마인드 밸런싱》 중에서-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2024. 2. 26. 09:23

독창적 사고를 하는데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이 없다.
이것을 보면 역시나 일상성에서 벗어나는 것이
창조로 연결된다는 것이 입증된다. 정들면 고향이라는
말이 있다. 어느 곳이나 오래 살면 정이 들어 다른 곳보다
좋게 느낀다는 마음을 드러낸 말인데, 지적 환경으로서는
최악이라고 할 수 있다. 잠시 들르는 여행지라고 하면
재미있는 게 눈에 보여도, 오히려 그곳에
살면 보이지 않는 법이다.


- 도야마 시게히코의 《어른의 생각법》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다다다 터진 엄마 이야기  (0) 2024.02.28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0) 2024.02.27
땅바닥을 기고 있는가, 창공을 날고 있는가?  (0) 2024.02.23
마음이 편안해질 때까지  (0) 2024.02.22
배꼽  (0) 2024.02.2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땅바닥을 기고 있는가, 창공을 날고 있는가?

2024. 2. 23. 09:18

시련을 만났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은 '선택'을 잘하는 것이다.
시련 없는 인생은 없다. 그러나 시련을 키워
더 큰 불행으로 몰아가는 것은 나 자신이다.
시련은 통과해 성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순간에도 온전한
나로서 긍정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


- 오유경의 《어른 연습》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과 벗이 되는 법  (0) 2024.02.27
여행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0) 2024.02.26
마음이 편안해질 때까지  (0) 2024.02.22
배꼽  (0) 2024.02.21
태양 아래 앉아보라  (0) 2024.02.20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마음이 편안해질 때까지

2024. 2. 22. 09:01

무례한 사람에게 주눅들 필요 없어.
널 만만히 보는 사람의 눈치 볼 필요도 없어.

불쾌한 말에 웃어주지 말고
무례한 말에 정색해도 괜찮아.
네 마음이 불편하면 그런 거지.

오히려 충분히 거리 두는 게 좋아.
네 마음이 편안해질 때까지.
네가 너다워질 때까지.


- 고은지의 《오늘도 잘 살았네》 중에서 -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